Terraform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Terraform] Terraform 사용법 이번 시간 Terraform을 이용하여 AWS에 Ec2 실행하는법에 대해서 작성 하겠습니다. 먼저 AWS 에 가입이 되어 있다는 전제로 글을 작성 하겠습니다. 우선 IAM에서 새로운 계정을 만드시거나 Admin 계정을 이용하여 액세스키를 발급을 받아줍니다. 이때 발급 받은 액세스키는 다시 볼 수 없기 때문에 엑셀 파일을 저장하거나 키를 어딘가에 저장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AWS CLI 설치 및 Credentials 등록 brew install awscli aws configure aws configure list aws cli가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먼저 cli를 설치 해줍니다. 그 후에 aws configure 명령어를 입력하여 위에 발급 받은 액세스키와 시크릿키 그리고 해당 리전들을 입력해줍니다. 위.. [Terraform] 테라폼의 기본 개념 이번 시간에는 Terraform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Provisioning (프로비저닝) 어떤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 단계를 프로비저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프로비저닝에는 크게 네트워크나 컴퓨팅 자원을 준비하는 작업과 준비된 컴퓨팅 자원에 사이트 패키지나 애플리케이션 의존성을 준비하는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명확한 경계는 불분명하지만 테라폼은 전자를 주로 다루는 도구입니다. Provider (프로바이더) 테라폼과 외부 서비스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는 모듈입니다. 예를 들어 테라폼으로 AWS 서비스의 컴퓨팅 자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aws 프로바이더를 먼저 셋업해야합니다. 프로바이더로는 AWS,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마이크로소.. [Terraform] 테라폼 설치 및 세팅 이번에 우연히 테라폼에 대해서 공부할 기회가 되어 블로그를 포스팅을 합니다. 먼저 필자는 MacBook을 사용하였습니다. 먼저 homebrew가 없으면 brew를 설치 합니다. 설치를 다 하였으면 homebrew를 통해 Terraform 설치 합니다. Terraform 설치 brew install terrform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버전을 확인 해봅니다. terraform version 설치가 잘 되었으면 위와 같이 결과가 나옵니다. 또한, tfenv를 설치하여 terraform 원하는 버전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기존 terraform과 패키지 충돌이 일어나서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기존 terraform을 지우고 tfenv로 설치 하였습니다. brew uninstall .. 이전 1 2 다음